posted by Hydrogen_B 2020. 1. 1. 20:47
  1. systemd 시스템 부팅 절차
    1. BIOS(MBR) or UEFI(GPT) POST단계 실행(삑소리)
    2. 부트로더를 메모리에 적재
    3. GRUB2 실행 -> 커널 선택 가능
    4. 커널이 메모리에 적재되고 initramfs 압축 해제 (img파일)
    5. /sysroot 부팅 관련된 파일들이 존재 (read only)

-> /(read, write) 부팅이 완료되면 피버팅이 일어난다

  1. systemd PID 1번으로 할당 -> 타겟 설정

 

 

부팅 절차의 마지막 -> 타겟

유저레벨에서 사용가능한 타겟 -> {emergency, rescue, multi-user, graphical}.target

  • emergency.target : 최소한의 부팅만 가능한 상태, 루트파일 시스템(/), Read 가능
  • rescue.target (CLI): 단일 사용자 환경으로 제공, 네트워크X
  • multi-user.target (CLI): 다중 사용자 환경 제공 (기본적으로 제공O), 네트워크O
  • graphical.target : GUI 환경 제공 (기본적으로 제공X)

local-fs.target -> sysinit.target -> basic.target -> multi-user.target

# systemctl isolate multi-user.target : CLI화면으로 전환

# systemctl isolate graphical.target : GUI화면으로 전환

커널에서 리마운트

# rd.breaker

# mount -o remount,rw /sysroot

# chroot /sysroot

# passwd

# touch /.autolabel

ctrl+d

ctrl+d

'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리눅스 기본 명령어  (0) 2020.01.01
systemd(시스템데몬)  (0) 2020.01.01
소프트웨어 패키지  (0) 2020.01.01
로그 관리  (0) 2020.01.01
디스크 관리  (0) 2020.01.01